솔리이야기/좋은글·따뜻한글

황 지우 늙어가는 아내에게

솔리스톤1 2009. 12. 18. 13:44

늙어가는 아내에게

                        

                            -황지우

 

내가 말했잖아

정말, 정말, 사랑하는, 사랑하는, 사람들,

사랑하는 사람들은,

너, 나 사랑해?

묻질 않어

그냥, 그래,

그냥 살어

그냥 서로를 사는 게야

말하지 않고, 확인하려 하지 않고,

그냥 그대 눈에 낀 눈곱을 훔치거나

그대 옷깃의 솔밥이 뜯어주고 싶게 유난히 커 보이는 게야

생각나?

지금으로부터 14년전, 늦가을,

낡은 목조 적산 가옥이 많던 동네의 어둑어둑한 기슭,

높은 축대가 있었고, 흐린 가로등이 있었고

그대의 집, 대문 앞에선

이 세상에서 가장 쓸쓸한 바람이 불었고

머리카락보다 더 가벼운 젊음을 만나고 들어가는 그대는

내 어깨 위의 비듬을 털어 주었지

그런거야, 서로를 오래 오래 그냥, 보게 하는 거

그리고 내가 많이 아프던 날

그대가 와서, 참으로 하기 힘든, 그러나 속에서는

몇 날 밤을 잠 못자고 단련시켰던 뜨거운 말,

저도 형과 같이 그 병에 걸리고 싶어요

그대의 그 말은 에탐부톨과 스트렙토마이신을 한 알 한 알

들어내고 적갈색의 빈 병을 환하게 했었지

아, 그곳은 비어있는 만큼 그대 마음이었지

너무나 벅차 그 말을 사용할 수 조차 없게 하는 그 사랑은

아픔을 낫게 하기보다는, 정신없이,

아픔을 함께 앓고 싶어하는 것임을

한밤, 약병을 쥐고 울어버린 나는 알았지

그래서, 그래서, 내가 살아나야 할 이유가 된 그대는 차츰

내가 살아갈 미래와 교대되었고

이제는 세월이라고 불러도 될 기간을 우리는 함께 통과했다

살았다는 말이 온갖 경력의 주름을 늘리는 일이듯

세월은 넥타이를 여며주는 그대 손끝에 역력하다

이제 내가 할 일은 아침 머리맡에 떨어진 그대 머리카락을

침 묻힌 손으로 집어내는 일이 아니라

그대와 더불어, 최선을 다해 늙는 일이리라

우리가 그렇게 잘 늙은 다음

힘 없는 소리로, 임자, 우리 괜찮았지?

라고 말할 수 있을 때, 그때나 가서

그대를 사랑한다는 말은 그때나 가서

할 수 있는 말일 거야 .

 

 

마침내 바람 만난 알바트로스의 날개처럼...

 

전 세계적으로 오늘의 예술 교육은 “예술이 사회 안에 있다”(art in society)는 의식과 그에 따른 책임감을 강조하는 추세 속에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과학기술과 문화 콘텐츠가 매우 중요한 사회적 자본으로 간주되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예술가는 과학자들과 더불어 그 사회의 다수를 ‘먹여 살려야 하는’ 창의적 소수로서 과중한 위치를 떠맡지 않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한국예술종합학교는 이 나라 미래 생존 전략의 양 날개인 과학기술과 문화예술 가운데 한쪽 날개의 힘찬 추동 장치가 되고자 합니다. 즉 문화예술에 있어서 여러 사람 먹여 살릴 <창의적 소수>, ‘꾼’, ‘선수’, 진짜 전문가를 육성하는 것, 그것이 이 학교의 교육 미션입니다. 그러나, 예술가를 육성한다, 양성한다는 말에 나는 평소에도 거부감을 느껴온 터입니다.

예술가는 길러지는 것이 아니라 태어나는 것이라고 믿고 있기 때문입니다.

원컨대, 한국예술종합학교는 새로운 예술가들이 탄생하는 분만실, 전에 듣도 보도 못한 엉뚱한 예술 콘텐츠가 자라나는 인큐베이터, 끊임없이 도전하고 실험하고 마침내 어떤 예술을 성립시키고야마는 공작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나는 틈날 때마다 우리 학생들에게 말합니다; 저질러라! 너의 본능을 믿어라! 믿고 그걸 쭈욱 따라가라! 때때로 자신이 선택한 예술 앞에 망설이고 겁먹은 학생들에게 나는 말합니다; 실수하는 걸 두려워 하지마라! 우리는 실수하면서 배우며 실패를 통해 깨닫게 된다. 그리고 절망하지 않는 자는 한 치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고 나는 말합니다. 예술의 문지방을 갓 넘어온 학생들에게 또 나는 말합니다; 그대 문중의 스승이 갖고 있는 모든 것을 훔쳐라. 스승이 흉중에 숨기고 있는 것까지 그대 부리를 집어넣어 모두 꺼내 먹어라. 그걸로 그대 몸집을 불린 다음 그 스승을 떠나라. 그 스승은 기뻐하리라.

또한 나는 말합니다. 담대한 생각을 가져라! 너무나 과감한 생각이라 아무도 그대를 이해해 주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 뼈저린 외로움은 나중에 위대함의 징표가 되리니 당돌한 사랑으로 낯선 정신들과 만나라고 나는 말합니다. 얼른 정답을 찾기보다는 차라리 답이 아닌 것들을 찾아 겨루고 고민하고 헤어지고 헤매는 ‘끝이 열린 질문들’을 놓지마라고 나는 말합니다. 그러다보면 어느 날 문득 우연히 주운 보물처럼 어떤 해답의 번개가 그들 마음의 피뢰침에 내리 꽂힐 것이기 때문입니다.

저 멀리 남극으로부터 얼음조각들이 떠밀려오는 파타고니아의 어느 섬. 한 여름 알바트로스 새때가 그 섬 가득이 날아와 알을 낳습니다. 풀섶을 눌러앉은 어미의 체온을 받아 새는 스스로 안에서 알을 깨고 나옵니다. 어미는 쉴 새 없이 바다로 나가 먹이를 물어오고 새끼들은 환장하게 입을 벌리고 제 결핍만을 주장합니다. 새끼들은 몸집을 꽤 불렸음에도 긴 부리를 어미 목구멍 속까지 집어넣어 어미가 절반쯤 소화시킨 먹이를 끄집어내어 탐욕스럽게 먹어치웁니다. 새끼가 다 자랐습니다. 너무 뚱뚱해진 새끼들은 제 몸을 가누지 못하고 그 큰 두 날개를 바닥에 질질 끌면서 뒤뚱뒤뚱 뛰어다닙니다. 마침내 새끼가 날 때가 되었습니다. 새끼는 깎아지른 해벽 낭떠러지를 향해 그 무거운 몸을 뒤뚱거리면서, 그러나 온몸으로, 질주합니다. 그리고 낭떠러지에서, 오직 자신의 본능을 믿고, 온몸을 던집니다. 어떤 새끼는 그대로 수면 위로 꼴아박고는 죽어버리기도 합니다. 그러나 추락 직전, 해벽을 지나가는 바람을 만나 날개를 쫙 펴고 서서히 하늘로 활공하기 시작합니다. 참새처럼 날개를 방정맞게 여러 번 치지도 않습니다. 다만 몇 번 휘저어 큰 날개 아래 바람을 품고 그 바람을 타고 상승할 따름입니다. 그는 그렇게, 구름보다 더 높이 나는 신천옹, 하늘의 왕자, 알바트로스가 됩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 황지우